원래는 ElasticSearch에서 긁어오는 부분을 Django 모델과 별개로 따로 데이터베이스 공간을 만드려고 했었다. 그러나 pymysql로 DB 로그인하고 불러오는 딜레이가 너무 커서, ElasticSearch 부분도 Django 모델로 따로 만들어 주었다. Django 모델로 통합하니 다시 MySQL에 접속하는 딜레이가 필요없어져, 확실한 속도 향상을 볼 수 있었다.
다만 이미지 생성하는 부분은 속도가 여전히 느렸다. 교내 서버가 사양이 좋지 않아 TSNE를 돌리는 부분에서 딜레이가 걸리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교내에서 외부에서 접속을 하려면 4가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정보화 본부에서 연락이 왔다. 그 중에는 루트 경로에 정보화본부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하는 절차도 있었다.
설치는 압축파일을 푼 후 chmod로 설정하고 어쩌고 하는 절차였는데... 이 압축파일을 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했다.
mv ./[압축파일 있는 폴더]/* ../*
이 명령어를 입력했더니 실행 중인 폴더를 제외하고 모든 폴더가 날라가버렸다... 아무 명령어도 실행이 안 되어서 정보화본부에 리눅스 재설치를 요청하는 수 밖엔 없었다. 당분간은 좀 쉬어야 할 거 같다. ㅜ
'Computer Science > 개발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7/26] - Ubuntu 18.04 다시 설정 (mysql, pip, npm 등 설치....) (0) | 2021.07.26 |
---|---|
[2021/7/21] - MySQL 데이터 & Elastic Search 데이터 이동 및 코드수정 (0) | 2021.07.22 |
[2021/7/20] - React 서버의 프록시 설정과 Invalid Host Error 해결 (0) | 2021.07.21 |